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에 속한 작은 섬, 장고도는 대천항에서 약 22km 떨어져 있으며 삽시도에서 배로 30분이면 닿을 수 있는 아담한 섬이다. 면적은 1.5km²로 크지 않지만, 해안선 길이는 8.6km에 이른다. 인구는 132가구 308명(2021년 기준)이 거주하고 있으며, 풍부한 해산물 자원 덕분에 ‘부자 어촌마을’로 불린다.
섬의 이름은 장구처럼 생긴 모양에서 비롯되었는데, 과거에는 장구섬·외장고도 등으로 불리다가 1910년 이후 공식적으로 장고도(長古島)’라 표기되었다. 이 섬은 아름다운 해수욕장, 전통 민속놀이, 그리고 독특한 신앙 문화가 공존하는 곳으로, 사람들에게 충남의 제주도라 불리며 여름철 많은 여행객을 끌어들인다. 이번 글에서는 장고도의 매력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본다.

1. 장고도의 자연과관광명소
장고도는 태안해상국립공원 가장 남쪽에 속하는 섬으로, 바닷바람과 파도가 빚어낸 독특한 해안선을 자랑한다. 북풍이 거세게 몰아치지만 오히려 그 덕분에 아름다운 백사장이 형성되어 여름철 피서지로 각광받는다.
대표적인 관광명소는 명장섬 해수욕장과 당너머 해수욕장이다. 명장섬 해수욕장은 조수간만의 차가 크고 바다 경사가 완만하여 썰물 때면 2km 넘는 모래밭이 드러난다. 이때 해수욕장과 명장섬 사이에 자갈길이 열리는데, 하루 두 번 ‘모세의 기적’이라 불리는 장관이 펼쳐진다. 또 명장섬 너머로 떨어지는 일몰은 서해안 어디에서도 쉽게 볼 수 없는 절경으로 꼽힌다.
한편 당너머 해수욕장은 당산 서쪽에 자리한 아담한 백사장으로, 기암괴석과 ‘용굴’이라는 신비한 바위 지형이 유명하다.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이무기가 용이 되기 위해 바위를 뚫고 지나가며 생겨난 구멍이라 한다. 그 앞에는 ‘용난바위’가 솟아 있어 전설적인 풍경을 완성한다. 이러한 독특한 해안 지형은 여행객들에게 단순한 피서지를 넘어 신비로운 체험을 선사한다.
또한 장고도 곳곳에는 염전 터와 논, 그리고 옛 어촌의 풍경이 그대로 남아 있다. 마을 골목마다 줄지어 선 젓갈통, 민박을 겸한 작은 매점, 소박한 교회 건물들은 ‘섬마을’ 특유의 정취를 전한다. 이 작은 섬이지만 드라마 <구름계단>의 촬영지로도 사용되며 대중에게 널리 알려졌다.
2. 장고도의 전통문화인 등바루놀이와 등불써기
장고도가 자랑하는 문화유산 중 하나는 200여 년 전부터 이어져 온 등바루놀이이다. 매년 4월 초에 열리는 이 놀이는 장고도 처녀들이 바닷가에 둥근 돌담을 쌓아 올리고, 그 안에서 조개와 어패류를 잡으며 두 편으로 나뉘어 경합하는 행사이다. 단순한 놀이가 아니라, 성년을 맞은 여성들의 성인식 성격을 가진 전통 민속놀이로 평가된다.
놀이가 끝나면 승패를 가르고, 모두가 돌담 안에 모여 한복을 차려입고 점심을 나누며 노래와 춤을 즐긴다. 풍어제와 함께 노래 부르기, 굴아씨 뽑기 등 부가 행사가 이어져 마을 전체가 축제 분위기로 물든다. 장고도의 등바루놀이는 1981년 전국민속대회에서 문공부 장관상을 수상하며 그 가치를 인정받기도 했다.
이 외에도 장고도에는 진대사낭제, 용왕제, 등불써기 같은 전통이 이어진다. ‘등불써기’는 청년들이 횃불을 들고 집집마다 돌며 액운을 막고 복을 기원하는 지신밟기 형태의 민속놀이였다. 지금은 희소해졌지만, 장고도 사람들에게는 여전히 소중한 기억으로 남아 있으며, 섬의 역사와 문화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흔적이다.
3. 풍요로운 바다와 마을 이야기
장고도가 ‘부자 어촌마을’로 불리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풍부한 해산물이다. 봄에는 까나리, 여름에는 새우를 잡아 젓갈을 담고, 가을이면 김장철을 맞아 까나리액젓이나 멸치액젓을 전국 교회와 시장에 공급했다. 마을 골목마다 늘어선 수많은 젓갈통은 장고도의 생활상을 보여주는 풍경이다.
특히 장고도교회의 이야기는 흥미롭다. 과거 석영화 목사와 이영자 전도사가 까나리를 활용해 액젓을 만들어 공급하면서 지역 경제에 크게 기여했다. 당시 교회는 액젓 판매 수익으로 건물을 지었고, 좋은 샘물을 파서 군부대에도 공급했다. 군부대가 교회에 전기를 제공하면서 주민들이 누리지 못한 문화적 혜택을 먼저 누릴 수 있었던 일화는 장고도의 특수한 역사를 잘 보여준다.
또한 장고도 주민들은 민박 운영, 소금 생산, 염전 관리 등을 통해 다양한 수입원을 확보해 왔다. 해산물이 풍성하고, 관광지로 알려지면서 섬 경제는 꾸준히 활기를 띠었다. 비록 지금은 까나리 어장이 사라지고 일부 전통 산업은 쇠퇴했지만, 장고도는 여전히 ‘풍요로운 섬’이라는 별칭을 간직하고 있다.
장고도는 단순히 아름다운 섬 이상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풍성한 해산물과 염전으로 대표되는 경제적 풍요, 200년 전통의 등바루놀이로 상징되는 문화적 유산, 그리고 명장섬 해수욕장과 용굴 등에서 만나는 자연의 신비가 모두 어우러져 ‘충남의 제주도’라는 별칭을 얻은 것이다.
섬의 크기는 작지만, 그 안에 담긴 역사와 이야기는 결코 작지 않다. 장고도를 찾는 이들은 단순히 여행을 즐기는 것을 넘어, 어촌 사람들의 삶과 문화, 그리고 섬이 간직한 신비를 체험하게 된다. 그래서 장고도는 앞으로도 여전히 많은 이들에게 특별한 여행지로 기억될 것이다.